본문 바로가기

SpringBoot/개인프로젝트

Springboot MySQL 연결과 application.yaml파일 설정

따라서 프로젝트에 사용할 user와 database를 생성하고 프로젝트에 연결을 먼저 해주자.

 

1. DB생성 및 사용자 생성과 권한부여

--유저생성
create user 'username'@'%' identified by 'user password';

--DB생성
create databse DBname character set utf8 default collate utf8_general_ci;

--권한부여
grant all privileges on DBname.* to 'username'@'%';

 

2. Springboot 프로젝트와 MySQL 연결

생성한 프로젝트의 src/main/resources에 보면 application.properties가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진행시에는 appliciation.yaml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properties파일은 삭제하고 yaml파일 생성

application.yaml파일에 다음 코드 추가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rl: jdbc:mysql://localhost:3306/DBname?serverTimezone=Asia/Seoul
    username: username
    password: user password

 

3. application.yaml 설정

이 부분은 전에 데어프로그래밍님 강의 수강 후 설명까지 첨부해서 작성해둔 글이 있기 때문에 해당 포스트를 참고하면 될 것 같다.

develop-yejin.tistory.com/5

 

12.28 TIL - application.yaml설정

본 포스트는 데어프로그랭밍님 스프링부트 블로그프로젝트 수강 후 작성한 내용입니다. yaml설정 yaml을 설정한다는 것은 프로젝트 설정을 한다는 것이다. 이전에는 xml을 주로 사용했지만 가독성

develop-yejin.tistory.com

참고로 해당 포스트의 yaml에서는 servlet: context-path: /blog로 설정되어 있는데 후에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context-path부분은 지웠다.

 

이제 테스트해볼 파일 생성해서 해보면 된다!

pom.xml에 시큐리티를 추가해놨기 때문에 로그인페이지가 뜨는데

id부분에 user를 입력하면 되고 password는 프로젝트 실행시키면 터미널창에서 볼 수 있다.

이 부분의 사진은 내일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추가하는것으로 하겠다.

 

프로젝트 시작 첫날은 끝!

'SpringBoot > 개인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인페이지, 게시판 만들기  (0) 2021.02.06
프로젝트 시작하기  (0) 2021.02.03
파티룸 홈페이지 제작 구상  (0) 2021.02.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