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는 데어프로그래밍님 스프링부트(블로그프로젝트) 강의 수강 후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늘은 스프링부트 http1.1강의를 들었다. 그래도 확실히 전공수업을 들은 짬바가 생기긴 하는건지 (얼마전까지 시험치면서 나는 말하는 감자도 아니고 말하는 아메바라고 한사람 누구야...ㅋㅋㅋㅋ) 강의 3개 들었는데 아는내용나와서 좀 넘기기도 하면서 봤다. 데어프로그래밍님 강의는 되게 자세히 알려주셔서 좋다! 빨리빨리 프로젝트만 진행하기보다 배우면서 하고 싶은 입장에서 듣기 좋은것 같다. 본론으로 들어가자 이제!
stateless
stateless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할 때 요청시마다 스트림을 연결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즉 서버가 response를 보내고 연결을 끊는것이다. 이 경우 서버에 연결된 스트림이 많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서버입장에서 부하가 적다. 아래 적을 http에서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세션을 유지하는 방법이 중요하고 어려운 부분인데 이 부분은 나중에! 배우고 적는걸로한다
<->stateful : 연결이 지속되는 방식. 즉, 세션이 유지가 되는것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인증이 되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한번 연결하고 계속 데이터를 그냥 주고 받을 수 있다.
이 부분 들으면서 지난학기에 네트워크 수업들은 내용이 생각났다! 그 수업에서 진짜 배운거 없다고 생각했는데 그래도 이렇게 생각나는게 신기하다.
http1.1
http1.1의 대표적인 통신방법(요청방법) 4가지가 있는데 Get, Post, Put, Delete이다.
Get은 데이터를 줘. 라고 요청하는거고 데이터베이스로 mapping 해보면 SELECT문이라고 할 수 있다. 서버가 SELECT문 실행하는것!
Post은 데이터를 추가해줘. INSERT문
Put은 데이터를 수정해줘. UPDATE문
Delete는 데이터를 삭제해줘. DELETE문
MIME타입
위에 적은 request를 보낼 때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그 데이터의 정보에 대한 부분을 http header에 담아서 보내는데 header에 들어가는 데이터의 타입이 MIME타입이다. 이부분 강의해주실때 header에 들어가는 추가적인 것들 얘기 해주시면서 서킷스위칭, 패킷스위칭 이야기 해주셨는데 시험본지 일주일도 안된내용이라서 아주 새록새록 기억이 났다. (그래요 교수님.... 이런거 시험에 내셔야죠... 이렇게 기억해야될 내용을 시험에 내주셔야지 왜 약자를 내시는거예요오오옹오오ㅠㅠㅠㅠㅠ)
사실 오늘 더 들었어야 되는데 종강한지 얼마 안되서 아직은 그냥 누워만 있고 싶다ㅠㅠ
내일은 꼭 더 듣는걸로!
'SpringBoot > Blog프로젝트 with JPA &데어프로그래밍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1 TIL - JPA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생성하기 (0) | 2021.01.01 |
---|---|
12.28 TIL - application.yaml설정 (0) | 2020.12.29 |
12.27 TIL - lombok (0) | 2020.12.28 |
12.23 TIL - maven (0) | 2020.12.23 |
20.12.21 TIL - http 실습 (0) | 2020.12.21 |